- 삼성 H61S1 H61S2 메인보드 바이오스 삽질하기 (장문주의)2022년 01월 16일
- 디지털 블리자드
- 작성자
- 2022.01.16.:55
안녕하세요.
삼성 H61S1, 삼성 H61S2 메인보드 바이오스 삽질기입니다. (장문 주의)
====================================================
작년 10월달에 갑자기 삼성 대기업 H61메인보드에 호기심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H61S1 메인보드랑 H61S2 메인보드를 각각 1개씩 2개를 구매했습니다.
H61S1은 바이오스가 최신이라서 아이브릿지 CPU를 지원하였습니다.
문제는 H61S2의 바이오스가 구버전이라서 아이브릿지 CPU를 지원하지 않더군요.
아무런 장비없이 H61S2의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해보고자 구글에서 바이오스를 구한다음 도스로 부팅해서 바이오스를 올렸습니다.
도스로 바이오스 업데이트하다가 뻑났습니다. 메인보드가 벽돌이 되버렸습니다.
부팅이 전혀 안되더군요... ㅠ.ㅠ
벽돌이 된 H61S2 메인보드를 버려야되나 엄청 고민하다가 바이오스를 복구하는 방법을 구글에서 검색을 했습니다.
CH341A라는 롬라이터기로 살릴 수 있다고 하더군요.
아마존에 CH341A + 바이오스 집개 + 1.8v 컨버터 세트를 팔길래 냅다 구매했습니다.
시간이 흘러서 CH341A가 도착했습니다.
어느 고수님께서 삼성 H61 바이오스들을 올려주신걸 찾았습니다.
https://www.2cpu.co.kr/PDS/14125
진짜 감사합니다. 乃
벽돌이 된 H61S2 메인보드의 바이오스를 복구했습니다.
위의 링크의 글쓴이님 말씀처럼 S/W 업데이트가 불가능합니다.
바이오스를 복구한 후 다시 정상적으로 구동이 되고 아이브릿지 CPU도 지원이 되더군요.
이것으로 한시름 놓았습니다.
=======================================
그런데 여러가지 정보를 검색하던 중 샌디브릿지 메인보드들이 한번 리콜되었다는 소리가 있더군요.
찾아보니 B3 칩셋이 정상이라고 합니다.
CPU-Z로 메인보드 정보를 확인해보니 B2라고 되어있더군요. 허걱~!
그런데 곰곰히 생각해보니 삼성 메인보드의 바이오스는 발로 만들어서 잘못 표기한거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래서 삼성 메인보드 칩셋부분 분리가 쉬워서 칩셋 방열판을 들어내고 칩셋 번호를 직접 확인해봣습니다.
H61S1 과 H61S2 모두 SLJ4B 칩셋이였습니다. B3 칩셋이더군요.
정보를 좀더 찾아보니 P67, H67 보드가 리콜될 당시에 H61 메인보드는 유통된적이 없고 판매된적이 없었답니다.
그래서 H61은 B3칩셋만있다더군요. 엄청 다행입니다.
역시 삼성 바이오스는 발로 만들었습니다.~!!!
============================================
삼성 메인보드가 호환성이 안좋다고 소문이 많이 났더군요.
롬라이터기도 있겠다 싶어서 여기에서 만족하지 않고 바이오스를 개조해가면서 이것저것 삽질을 하고 싶어졌습니다.
소문에 의하면 UEFI 관련해서 문제가 있기 때문에 그래픽카드와 호한성을 많이 탄답니다.
그리고 바이오스가 단순해서 기능들이 많이 없다는군요.
스캔 고수님의 글을 읽어본 바로는 페카트론 OEM메인보드라서 롬칩을 8MB 짜리로 납땜질 해서 바꾸고 페가트론 바이오스를 입히면 아주 잘 된다더군요.
롬칩을 납땜질로 바꾼다는 것은 난이도가 안드로메다급으로 어려운 작업이라 포기했습니다.
저는 납땜질 안하고 호환성을 올릴 수 있는 나만의 방법을 개척해보자 하고 본격적으로 삽질을 해보기로 계획 했습니다.
먼저 한가지 가설을 세워봤습니다.
==============================
메인보드 기판에 사운드, 렌카드 , chipset , sata 등등을 각각의 회사에서 받아와서 조립?(설계)을 하고 자신들의 바이오스를 입히기 때문에 구성이 같은 메인보드는 서로 호환된다 라는 가설을 세워봤습니다.
==============================
일단 워밍업으로 바이오스 유틸로 바이오스의 로고를 바꾸는 삽질을 하였습니다.
LG 로고 바꿔보기도 하고 제가 다니는 회사 로고도 넣어보면서 피식 웃기도 했네요 ㅋ
사진은 못찍었습니다...
좀더 검색해보니 M.2 NVME 부팅 가능하게 끔 만드는 방법도 있더군요.
H61S1 과 H61S2 와 구성이 비슷한 다른회사의 브랜드들의 메인보드들을 물색했습니다.
ASUS, MSI, ASROCK, GIGABYTE 사이트에 들어가서 H61 메인보드에 해당하는 모델을 매의 눈으로 보면서 검색을 했습니다.
램 슬롯 수 , SATA 수 , USB 갯수 PS/2, DVI , SUB , PCI-E 개수 등등을 모두 고려해보니 거의 비슷한 후보가 여러개 나왔습니다.
그중에 추리고 추려서 단 1개의 모델을 선정했습니다.
그 모델은 GA-H61M-DS2V 입니다.
찾아보니 정말 구성이 비슷합니다.
그리고 그래픽카드 호환성을 향상시키는 최신 바이오스도 올라와있더군요.
느낌이 너무 좋습니다.~!
여기서 2번째 가설을 세웁니다.
==============================
칩셋은 H61 칩셋으로 동일해서 SATA 인식 문제가 없을 것이고, PCI-E 슬롯도 구성이 같도 배치도 같아서 작동되는데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습니다.
realtek 렌카드는 모델명이 달라도 1개의 파일에 inf 에 모델명이 통합되어 있고 1개의 sys 드라이버 파일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작동 알고리즘은 완전히 동일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realtek 사운드는 inf 가 여러개로 나뉘어져있지만 동일한 sys, exe 파일로 구동되기 때문에 작동이 가능할 수 도 있다는 것입니다.
inf에 따라 몇개가 추가되거나 빠지거나 하지만 대체적으로 작동되는 핵심 파일들은 동일하기 때문에 작동이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
가설을 세웠으면 가설을 확인해봐야겠죠?
삼성 H61 메인보드에 GA-H61M-DS2V 최신 바이오스를 이식했습니다.
그랬더니 잘 작동합니다. ㅋㅋ
일단 기가바이트 로고가 뜨는 관계로 예의상 삼성 로고 바꾸기로 합니다.
그리고 이왕 바이오스 로고 바꿀겸 NVME 기능을 추가하기로 했습니다.
NVME UEFI 부팅 기능 추가하려고 보니 ASUS 브랜드 바이오스의 추가하는 방법과는 달라서 살짝 삽질좀 했습니다.
바이오스를 완성시켰으면 다시 바이오스를 입혀야겠죠?
Q-Flash 기능을 이용해보기로 했습니다.
아주 잘됩니다.~!!!
삼성 메인보드가 지가 무슨 기가바이트 메인보드인줄알고 바이오스 업데이트 아주 잘 해줍니다.
삼성 메인보드가 기가바이트 메인보드 행세하는걸 보고 어이가 없어서 웃었네요...ㅋㅋㅋ
최종 TEST를 해봅니다.
UEFI 모드로 M.2 NVME에 윈도우를 설치하고 부팅을 해봅니다.
부팅도 잘됩니다.
인터넷도 잘되고 소리도 잘들립니다.
SATA SSD 도 잠깐 연결해봤는데 잘됩니다.
바이오스로 들어가보니 삼성 바이오스에 없는 기능들도 생겼습니다.
예를들면 CPU팬 속도 제어도 가능해집니다.
드라이버도 잘 잡힙니다.
삼성 메인보드 속성입니다.
기가바이트 바이오스라서 그런지 기가바이트 메인보드로 바꼈습니다.
i3-3240 CPU가 PCI-E 2.0만 지원하기 때문에 PCI-E 2.0 이라고 표시가 되어있습니다.
혹시나 해서 더 상위 CPU(i5 , i7)를 사용해봤더니 PCI-E 3.0 까지 지원하였습니다.
(PCI-E 3.0 부분은 깜박하고 스샷을 못찍었습니다.)
듀얼램 구성도 잘 됩니다.
GPU-Z 입니다.
내장그래픽과 내장그래픽 포트도 잘 작동된다는 것을 알려드리기 위해서 스샷을 찍었습니다.
NVME 부팅을 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 올려봅니다.
그 다음 TEST 작업으로는 그래픽카드 호환성 TEST를 해봤습니다.
그래픽카드를 장착하게 되면서 M.2 NVME SSD 는 아래 슬롯으로 옮겨서 부팅시켰습니다.
아주 잘 작동됩니다.
그래픽카드도 호환이 잘 됩니다. 아주 잘 작동합니다.
i5-3570 , i7-3770 같은 CPU를 장착하게 된다면 PCI-E 3.0 으로 작동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PCI-E 슬롯 4개 모두 USB카드라던지 다른 렌카드라던지 등등을 모두 꼿아봤는데요, 동시 사용이 가능했습니다.
여기까지 삼성 H61S1 과 삼성 H61S2 메인보드의 바이오스로 삽질한 내용입니다.
호환성 TEST는 오랜 기간동안 못했지만 작동은 아주 잘되는 듯합니다.
===========================================
혹시나 하는 마음에 삼성 B75S1 메인보드도 구매해서 바이오스 개조도 해보고 이것저것 해봤습니다.
B75S1 삽질한 결과는 PCI-E 슬롯 1개와 랜카드가 작동아 안되더군요.
B75S1은 인텔 랜카드를 사용하는데 대부분의 다른 회사의 B75 메인보드들은 랜카드를 realtek 을 사용하더군요.
인텔 랜 드라이버를 개조 바이오스에 추가시켜봤습니다만 결과는 실패입니다.
B75S1에 타회사 바이오스를 완벽하게 입히는 것은 제 능력밖인 것 같습니다.
=========================================
느낀점은 뭐랄까.....
어부지리로 얻은 느낌입니다.
속담으로 표현하자면 소 뒷걸음 치다가 쥐잡을 꼴이라고 해야될까요? ㅋ
삼성 H61S1 과 삼성 H61S2 메인보드가 타회사 바이오스와 호환이 잘 된다는 것은 정말 운이 좋은 것 같습니다.
저는 별로 한것도 없고 그져 얻어 걸린거라 올리지 말까 했는데요.
그래도 도움이 되실분들이 계실까 해서 그리고 더 훌륭한 능력자 분들께서 뭔가 더 좋은 개조 바이오스를 만들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 글을 올려봤습니다.
이번 삽질로 인해서 내린 결론은 삼성 H61 메인보드가 기가바이트 H61 메인보드의 짝퉁이 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제가 개조한 BIOS를 올려드립니다만 절대로 S/W로 바이오스 업데이트 하지마세요. 벽돌됩니다.~!
롬 라이터가 있으시면 롬 라이터로 바이오스 업뎃하면 됩니다.
H61S1 , H61S2 , H61M-DS2V 호환 바이오스 다운로드 링크 (UEFI NVME 부팅 가능, 삼성 로고)
+ H61 윈도우 10 드라이버 다운로드 링크
다운로드 링크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oN1gfI3CYEfsS49eVjWRx1xa76XoK-pD
이상으로 허접한 바이오스 삽질기였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22-12-30 추가내용
추가 CH341A 사용방법
롬라이터기로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하기 힘들어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내용을 추가합니다.
먼저 메인보드 베터리를 제거합니다.
바이오스 칩에 홈이 파인 부분이 집게의 빨간색 부분이 오개끔 연결하셔야됩니다.
순서가 바뀌거나 잘못연결하면 칩이 망가질수 있다는군요.
매우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USB 단자에 CH341A를 연결합니다.
동봉되어있는 CH341A-programmer-1.4.7z의 압축을 풉니다.
Driver install 을 실행합니다.
INSTALL을 클릭합니다.
위와 같은 메세지가 나오면 확인을 누르고 종료합니다.
CH341AFree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타납니다.
25 SPI FLASH를 선택하고 용량은 4MByte/32Bit를 선택합니다.
삼성메인보드의 h61s1, h61s2 메인보드는 바이오스 용량이 4MByte 이기때문입니다.
간혹 실수로 용량을 1MByte나 2MByte로 선택하게 된다면 부팅이 안될겁니다.
왜냐하면 바이오스를 일부만 변경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검색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Chip Info에 뭔가가 뜰겁니다.
바이오스와의 연결이 잘되었다면 영어와 숫자의 조합이 뜰겁니다.혹시 모를 사태를 대비해서 바이오스의 원본을 저장해보겠습니다.
CH431A Programmer 창에서 읽기를 클릭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바이오스 읽기를 진행합니다.
읽기가 완료되면 저장을 클릭하여 바이오스 원본을 저장합니다.
원본 바이오스를 백업하였다면 바이오스를 업데이트 해보겠습니다.
먼저 원본 바이오스를 지워야합니다.
CH431A Programmer 창에서 지우기를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이 바이오스가 지워집니다.
지우기가 성공하였다면 바이오스 칩의 데이터가 잘 지워졌는지 확인해봅니다.
확인하는 방법은 공백을 클릭하면 됩니다.
바이오스가 잘 지워졌는지 검사는동안 기다립니다.
바이오스 칩에 내용이 모두 지워진 상태라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타납니다.
그 다음으로는 새로운 바이오를 입혀보겠습니다.
열기를 클릭하여 새로 입혀줄 바이오스 파일을 불러옵니다.
바이오스가 잘 열였다면 기록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바이오스칩에 불러온 파일을 기록하게 됩니다.
기록이 완료될동안 기다려 줍니다.
기록이 완료되었다면 기록한 내용과 바이오스 파일이 일치하는지를 검사해봅시다.
검사를 클릭합니다.
검사가 완료될때까지 잠시기다려줍니다.
아래와 같은 창이 뜬다면 바이오스 업데이트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메인보드 베터리를 장착하고 부품을 연결하여 부팅시켜보시면 되겠습니다.
혹시나 외장 그래픽카드나 또는 내장그래픽 둘다 화면이 안나온다면 바이오스입히는게 실패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스캔님께서 올리신 H61S1 H61S2 바이오스 원본 링크입니다.
https://www.2cpu.co.kr/PDS/14125
원본 바이오스로 되돌리고 싶으시다면 삼성 H61S1 전용 최신 바이오스를 입혀보시고 외장그래픽이 또는 내장그래픽 화면이 나오는지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이상으로 글을 마치겠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PS. 삼성 메인보드에 개조바이오스를 사용하게되면 절전모드를 꺼주시길 바랍니다.
개조바이오스를 사용하게되면 절전모드에서 깨어날때 못깨어나고 3번 재부팅일어나게 됩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PS. 스캔님께서 개조 바이오스를 좀더 손을 보시고 올리신듯합니다.
원본 바이오스와 함께 업데이트가 된 개조 바이오스를 같이 올려놓으셨습니다.
https://www.2cpu.co.kr/PDS/14125
GIGABYTE-H61-MOD-SAMSUNG.bin 이 파일입니다.
대략적으로 ME 펌웨어업데이트, Intel RST OpROM 업데이트, 아이브릿지 EFI GOP 드라이버 업데이트, NVMe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해주신듯합니다.
개조바이오스로 바꾸는 작업이 처음이사라면 스캔님께서 올려주신 GIGABYTE-H61-MOD-SAMSUNG.bin 바이오스를 다운 받으셔서 진행 하시는 것이 더 좋을 듯합니다.
기존에 제가 올린 개조 바이오스로 작업하신 분들께서는 Q-Flash를 이용하시면 쉽게 바이오스 업데이트가 가능합니다.(USB가 필요합니다.)
현재 개조 바이오스로 사용중이신 분들께서는 Q-Flash 기능을 이용하시면 롬라이터기를 안쓰셔도 됩니다.'컴퓨터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맷없이 mbr -> gpt 변경하기 (1) 2023.04.30 윈도우 11 설치 이미지 다운로드 방법 (0) 2022.05.02 윈도우 11 강제로 설치하기 (0) 2021.07.17 수동으로 윈도우7이미지에 USB 3.0 드라이버 통합 (0) 2021.07.17 vhd 사용하기 (0) 2021.07.17 다음글이전글이전 글이 없습니다.댓글